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은 을숙도대로에서 시작하여 천마터널, 남항대교, 부산항대교, 광안대로, 만덕~센텀 고속화도로를 거쳐 남해고속도로 및 강변대로와 연결되는 부산광역시의 간선 도로이다. 2003년 광안대교 개통을 시작으로, 2014년 부산항대교 개통으로 총 길이 52km의 해안 순환 도로망이 완성되었다. 이 도로는 사하구, 서구, 영도구, 남구, 해운대구, 연제구, 동래구, 북구, 사상구를 경유하며, 명지녹산국가산업단지와 부산신항, 거제도로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부산 경제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영도구의 교통 - 부산대교
부산대교는 부산광역시 영도구와 육지를 연결하는 왕복 4차로의 다리로서, 영도에서 서울까지 연결되며, 타이드아치 공법이 적용되어 대형 트럭도 통행할 수 있다. - 부산 영도구의 교통 - 태종로 (부산)
태종로는 2009년 7월 8일 부산광역시의 도로로 지정되었으며, 중구와 영도구를 지나며, 옛시청사거리에서 여러 국도 및 부산광역시도와 교차하고 영도대교 등을 거쳐 태종대앞 교차로에서 종점이 된다. - 부산 서구의 교통 - 국도 제2호선
국도 제2호선은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부산광역시 중구까지 이어지는 대한민국의 국도로, 도로 개량과 확장, 우회도로 건설 등을 거쳐 현재는 주요 간선도로로 운영되고 있으며, 일부 구간은 왕복 2차선 도로로 구성되어 있고, 서해안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연결 우회도로와 다수의 교량 및 터널, 신안군 지역 연도교 건설, 일부 구간 4차선 확장 공사 등이 진행 중이다. - 부산 서구의 교통 -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7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국토 서쪽 해안선을 따라 이어지는 897km의 장거리 국도로, 주요 교량과 터널을 포함하며 경제 활성화와 교통 편의 증진에 기여하고 일부 구간은 건설 중에 있다. - 부산 수영구의 교통 - 광안대교
부산 수영구와 해운대구를 잇는 총 길이 7.42km의 2층 복층 구조 사장교인 광안대교는 1994년 착공되어 2003년 개통된 왕복 8차선 도로로, 교통 흐름 개선에 기여하고 아름다운 야경으로 유명하지만, 자동차 전용도로로 보행자 및 자전거 통행이 제한된다. - 부산 수영구의 교통 - 번영로 (부산)
부산 번영로는 금정구, 해운대구 등 부산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자동차 전용도로로, 다수의 터널과 나들목을 포함하고 부산의 주요 간선 도로망을 구성하며 아시안 하이웨이의 일부 구간이기도 하다.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도로 정보 | |
도로 종류 | 부산광역시도 |
아이콘 | [[파일:부산광역시도 66호선.svg|30px]] |
노선명 | 내부순환도로 |
노선 번호명 |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 |
총연장 | 52.79km |
기점 | 부산광역시 사하구 |
주요 경유지 | 부산광역시 사하구 부산광역시 서구 부산광역시 영도구 부산광역시 남구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부산광역시 연제구 부산광역시 동래구 부산광역시 북구 부산광역시 사상구 부산광역시 사하구 |
종점 | 부산광역시 사하구 |
주요 교차 도로 | 남해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국도 제2호선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7호선 부산광역시도 제10호선 부산광역시도 제24호선 부산광역시도 제33호선 부산광역시도 제40호선 부산광역시도 제4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43호선 부산광역시도 제44호선 부산광역시도 제55호선 부산광역시도 제6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63호선 부산광역시도 제77호선 부산광역시도 제1002호선 부산광역시도 제1003호선 부산광역시도 제2002호선 부산광역시도 제240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3502호선 부산광역시도 제400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4102호선 부산광역시도 제4104호선 부산광역시도 제4105호선 부산광역시도 제610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6601호선 부산광역시도 제6604호선 |
2. 역사
2003년 1월 6일 광안대교가 개통되었고, 2008년 7월 9일에는 남항대교가, 2014년 5월 22일에는 부산항대교가 각각 개통되었다. 2014년 10월 7일 영도고가교가 개통되었고[1], 2016년 3월 31일에는 신선대지하차도가 개통되었다.[2] 2019년 3월 30일에는 천마터널 및 연결도로(감천지하차도) 총 3.28km 구간이 개통되었다.[3]
2. 1. 주요 교량 및 터널 개통
- 2003년 1월 6일: 광안대교 개통
- 2008년 7월 9일: 남항대교 개통
- 2014년 5월 22일: 부산항대교 개통
- 2014년 10월 7일: 영도고가교 개통[1]
- 2016년 3월 31일: 신선대지하차도 개통[2]
- 2019년 3월 30일: 천마터널 및 연결도로(감천지하차도) 총 3.28km 구간 개통[3]
3. 경유하는 도로
을숙도대로 - 천마터널 - 남항대교 - 남항·부산항대교 영도연결도로 - 부산항대교 - 동명오거리(신선대지하차도) - 광안대로 - 수영강변대로 - 만덕~센텀 고속화도로 - 만덕대로 - 남해고속도로 - 강변대로
4. 경유지
5. 노선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은 을숙도대교에서 시작하여 광안대교, 부산항대교를 거쳐 남해고속도로까지 이어지는 도로이다. 주요 경로는 다음과 같다.
- 을숙도대로 구간: 을숙도대교 교차로 ~ 감천지하차도
- 천마터널 구간: 천마터널 ~ 남항대교 서단
- 남항대교 구간: 영도연결도로 ~ 부산항대교
- 부산항대교 구간: 남구 영도 요금소, 신선대지하차도
- 신선로 구간: 남부운전면허시험장 교차로 ~ 광안대로 도시가스 교차로
- 광안대로 구간: 광안대교 ~ 해운대구 수영강변 요금소
- 만덕 ~ 센텀 대도심터널 구간: (현재 미개통)
- 만덕대로 구간: 만덕사거리 ~ 구포 나들목 ~ 덕천 나들목
- 남해고속도로 연결도로 구간: 덕천 나들목 ~ 강변대로
- 강변대로 구간: 덕천교, 강변대교, 삼락 나들목, 학장1교, 하굿둑 교차로, 신평 교차로 ~ 을숙도대교 교차로
이 도로는 부산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며, 특히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 포함되어 있어 도심 교통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1. 주요 구간 및 접속 노선
연결도로만덕 방면 진입 불가
부산광역시도 제55호선(강변대로)
강변대교
부산광역시도 제33호선(관문대로)
부산광역시도 제4104호선(삼덕로)
부산광역시도 제4102호선(장인로)
국도 제77호선
부산광역시도 제10호선(낙동남로)
하신번영로
괴정2교
(66호 광장)
부산광역시도 제77호선(을숙도대로)